Good Morning

Java의 정적(Static) 메서드 이해하기 본문

Back-End/Java

Java의 정적(Static) 메서드 이해하기

욘쥰 2024. 7. 27. 19:03

 

정적 메서드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이지만, 때로는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정적 메서드의 특징, 사용법, 그리고 주의해야 할 점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정적 메서드란?

정적 메서드는 클래스에 속하는 메서드로,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도 직접 호출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 이름을 통해 호출되며, 주로 유틸리티 함수나 팩토리 메서드 등을 구현할 때 사용됩니다.

  1. 정적 메서드의 특징
  • 객체 생성 없이 호출 가능
  • 클래스 이름으로 직접 호출
  • this 키워드 사용 불가
  • 오직 static 멤버만 직접 접근 가능
  1. 정적 메서드 사용 예시
public class MathUtils {
    public static int add(int a, int b) {
        return a + b;
    }
}

// 사용
int result = MathUtils.add(5, 3);
 
  1. 정적 메서드와 인스턴스 변수

정적 메서드의 주요 제한사항 중 하나는 인스턴스 변수에 직접 접근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다음 예시를 통해 이를 살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Counter {
    private int count; // 인스턴스 변수

    public void increment() { // 인스턴스 메서드
        this.count++;
    }

    public static void staticIncrement() { // 정적 메서드
        // this.count++; // 컴파일 에러!
        // count++; // 컴파일 에러!
    }

    public static void printSomething() {
        System.out.println("This is a static method");
        // System.out.println("Count is: " + count); // 컴파일 에러!
    }
}
 

이 예시에서 staticIncrement()와 printSomething() 메서드는 인스턴스 변수 count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이는 정적 메서드가 특정 객체의 상태와 무관하게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1. 정적 메서드 내에서 객체 생성 및 사용

정적 메서드 내에서 새로운 객체를 생성하고 그 객체의 인스턴스 메서드를 호출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unter counter = new Counter();
        counter.increment();
    }
}
 

이 경우, main 메서드(정적 메서드)에서 Counter 객체를 생성하고 그 객체의 increment() 메서드를 호출합니다. 이는 정적 메서드의 규칙을 위반하지 않습니다.

  1. 정적 메서드의 장단점

장점:

  • 객체 생성 없이 호출 가능하여 메모리 효율적
  • 유틸리티 함수 구현에 적합
  • 전역 함수처럼 사용 가능

단점:

  • 객체의 상태를 직접 변경할 수 없음
  • 오버라이딩 불가능
  • 과도한 사용 시 객체 지향 설계 원칙을 해칠 수 있음

결론

정적 메서드는 Java 프로그래밍에서 유용한 도구지만, 그 특성과 제한사항을 잘 이해하고 적절히 사용해야 합니다. 객체의 상태와 무관한 동작을 수행할 때 주로 사용되며, 유틸리티 함수나 팩토리 메서드 등을 구현할 때 특히 유용합니다. 하지만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인스턴스 메서드와 적절히 균형을 맞추어 사용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