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다국어 입력전환
- Mac m1
- Rectangle
- docker
- 쿠버네티스기초
- nhn_cloud_console
- 클라우드기초교육
- Kubernetes
- 만화철학
- m1 sts3 설치
- 거래소 운영시간
- 원씽
- 성장마인드셋
- 쿠버네티스
- 교양철학
- 슬래시24
- 클라우드입문자
- 다크모드
- nhn cloud
- sts3
- sm회사
- 만화로보는3분철학
- 코딩 특수문자
- si회사
- 도커
- spring mvc project
- 일상의행복
- 티스토리 야간모드
- 3분철학
- 미국채권
- Today
- Total
목록Front-End (4)
Good Morning
React를 처음 시작하는 개발자를 위한 단계별 가이드입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간단한 React 컴포넌트를 만들고, 프로젝트를 Git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1. React 프로젝트 설정먼저, Create React App을 사용하여 새 프로젝트를 생성했다고 가정합니다.2. 첫 번째 컴포넌트 만들기src 폴더에 Greeting.js 파일을 생성합니다.다음 코드를 Greeting.js에 추가합니다: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function Greeting() { const [name, setName] = useState(''); const handleChange = (event) => { setName(event.target.value); };..
안녕하세요! 오늘은 티스토리 블로그에 다크 모드를 추가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다크 모드는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줄이고, 배터리 소모를 줄이는 등 여러 장점이 있어 최근 많은 웹사이트에서 도입하고 있습니다.1. HTML 수정하기먼저 HTML 파일에 다크 모드 토글 버튼을 추가하고, Font Awesome 라이브러리를 연결해야 합니다. 2. CSS 수정하기다음으로 CSS 파일에 다크 모드 관련 스타일을 추가해야 합니다./* 야간 모드 스타일 */body.dark-mode { background-color: #222; color: #ffffff;}body.dark-mode #sidebar { background-color: #333; border-righ..
JSP와 JSTL에서 삼항 연산자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동적으로 변하는 UI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삼항 연산자란?삼항 연산자는 조건문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는 Java의 문법입니다.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조건 ? 조건이_참일_때의_값 : 조건이_거짓일_때의_값2. JSP에서의 활용JSP에서 삼항 연산자를 활용하면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에 따라 다른 링크와 텍스트를 쉽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이 코드는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 세션에 'id'가 없으면(로그인하지 않은 상태) '/login/login'과 'Login'을 반환- 세션에 'id'가 있으면(로그인한 상태) '/login/logout'과 'Logout'을 반환3. 실제 적용이렇게 설정한 변..
웹 개발을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동적 컨텐츠'와 '정적 컨텐츠'입니다. 이 두 가지 개념은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 각각의 특성과 용도를 이해하는 것이 효과적인 웹 개발의 첫걸음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정적 컨텐츠: 변하지 않는 안정성정적 컨텐츠는 말 그대로 '변하지 않는' 컨텐츠입니다. HTML 파일, CSS 스타일시트, 이미지 등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이들은 서버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가 사용자의 요청이 있을 때 그대로 전송됩니다.정적 컨텐츠의 장점:빠른 로딩 속도서버 부하 감소쉬운 캐싱간단한 유지보수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로고, 메뉴 구조, 푸터 정보 등은 대부분 정적 컨텐츠로 구성됩니다.동적 컨텐츠: 살아 숨쉬는 웹의 핵심반면 동적 컨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