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hn cloud
- 원씽
- si회사
- 성장마인드셋
- m1 sts3 설치
- sts3
- 슬래시24
- Mac m1
- 다크모드
- 교양철학
- sm회사
- 클라우드입문자
- 3분철학
- 다국어 입력전환
- docker
- 쿠버네티스
- 클라우드기초교육
- 도커
- 거래소 운영시간
- 만화철학
- 코딩 특수문자
- spring mvc project
- 쿠버네티스기초
- Rectangle
- 미국채권
- 일상의행복
- nhn_cloud_console
- 티스토리 야간모드
- 만화로보는3분철학
- Kubernetes
- Today
- Total
Good Morning
스프링 MVC에서의 에러 페이지 리다이렉션 이해하기 본문
스프링 MVC에서의 예외 처리와 에러 페이지 리다이렉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특히 @ExceptionHandler
와 web.xml
설정의 관계, 그리고 우선순위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예외 처리 방식의 우선순위
스프링 MVC에서 예외 처리와 에러 페이지 리다이렉션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프링 MVC의 @ExceptionHandler
2) 스프링 MVC의 @ControllerAdvice
3) web.xml
의 <error-page>
설정
4) 서블릿 컨테이너의 기본 에러 페이지
@ExceptionHandler
와web.xml
설정의 충돌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Controller
public class ExceptionController {
@ExceptionHandler(Exception.class)
@ResponseStatus(HttpStatus.INTERNAL_SERVER_ERROR)
public String catcher(Exception ex, Model m) {
return "error";
}
}
그리고 web.xml
에 다음과 같은 설정이 있습니다:
<error-page>
<error-code>500</error-code>
<location>/error500.jsp</location>
</error-page>
이 경우, 예외가 발생하면 @ExceptionHandler
가 먼저 동작하여 "error"라는 뷰를 반환합니다. 따라서 web.xml
에 정의된 error500.jsp로의 리다이렉션은 무시됩니다.
- 해결 방법
web.xml
설정대로 error500.jsp로 리다이렉션하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catcher
메서드에서 직접 "error500"을 반환:
return "error500";
2) 예외를 다시 던져 서블릿 컨테이너가 처리하도록 함:
@ExceptionHandler(Exception.class)
@ResponseStatus(HttpStatus.INTERNAL_SERVER_ERROR)
public void catcher(Exception ex) throws Exception {
throw ex;
}
web.xml
설정의 장단점
web.xml
에서 에러 페이지를 설정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장점:
- 서블릿 컨테이너 수준에서 작동하여 애플리케이션 전체에 대한 기본 에러 처리 제공
- 설정이 간단하고 직관적
단점:
- 세밀한 예외 처리가 어려움
- 동적인 에러 처리나 복잡한 로직 적용이 제한적
- 결론
현대적인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에서는 @ExceptionHandler
와 @ControllerAdvice
를 사용한 예외 처리를 주로 사용하고, web.xml
설정은 보조적인 역할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로젝트의 요구사항과 복잡성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외 처리 메커니즘의 우선순위를 이해하고 각 방식의 장단점을 파악하면, 더 효과적인 에러 처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Framework 핵심 기능 탐구: 컴포넌트 스캔, 의존성 주입, 그리고 ApplicationContext (0) | 2024.08.06 |
---|---|
Java 리플렉션을 이용한 간단한 의존성 주입 구현하기 (0) | 2024.08.04 |
Spring Framework에서의 효과적인 예외 처리 (0) | 2024.08.01 |
Spring MVC에서 로그아웃 기능 구현 시 흔히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 방법 (0) | 2024.07.31 |
Spring MVC에서 쿠키를 활용한 사용자 아이디 기억하기 (0) | 2024.07.31 |